맨위로가기

2002년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는 2002년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된 국제 장애인 스포츠 대회이다.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연맹의 권고로 1996년 대한민국 유치가 결정되었으며,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일대 16개 경기장에서 육상, 수영, 탁구 등 17개 종목이 진행되었다. 총 40개국이 참가했으며, 중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이 2위를 차지했다. 대회 로고는 부산과 대한민국의 상징을 담았으며, 마스코트는 거북이를 형상화한 "귀동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스포츠 - 2002년 여자 럭비 월드컵
    2002년 여자 럭비 월드컵은 스페인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뉴질랜드가 잉글랜드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2002년 스포츠 - 2002년 서아시아 경기 대회
    2002년 서아시아 경기 대회는 쿠웨이트에서 개최되었으며, 12개국이 참가하여 육상, 농구 등 10개 종목에서 경기를 치렀고, 쿠웨이트가 금메달 31개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2002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2002년 동계 올림픽
    2002년 동계 올림픽은 IOC 위원 매수 의혹 논란 속에서 미국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에서 개최되어 미트 롬니 회장의 주도로 성공적인 운영과 재정적 흑자를 기록했지만, 피겨스케이팅 심판 판정 논란과 쇼트트랙 김동성 실격 사건 등 공정성 논란도 있었으며 스켈레톤 종목 부활과 솔트레이크시티의 스키 산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2002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2002년 동계 패럴림픽
    2002년 동계 패럴림픽은 2002년 3월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개최되었으며, 36개국이 참가하여 4개 종목에서 92개의 메달 경기가 진행되었고, 독일이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다.
  • 2002년 11월 - 2002년 한국시리즈
    2002년 한국시리즈는 삼성 라이온즈가 LG 트윈스를 4승 2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시리즈 MVP는 삼성의 마해영이 수상했다.
  • 2002년 11월 - 2002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2002년 CONCACAF 여자 골드컵은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하여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우승하고 미국과 캐나다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2002년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
제8회 아시아 태평양 장애인 경기 대회
2002 FESPIC 경기 대회 로고
모토평등을 향한 힘찬 도전
개최 도시부산, 대한민국
참가국40
참가 선수2199
경기 종목 수17
개회 선언김석수 대한민국 국무총리
성화 점화고기선
주경기장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개회일2002년 10월 26일
폐회일2002년 11월 1일
이전 대회방콕 1999
다음 대회쿠알라룸푸르 2006
웹사이트fespic.or.kr

2. 개최 도시 선정과 개최 준비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연맹(FESPIC Federation)은 1995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집행위원회에서 2002년 아시안 게임 개최국으로 선정된 대한민국에 2002년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 개최를 권고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6년 3월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연맹에 서한을 보내 국제 장애인 스포츠 대회 개최를 통한 장애인 복지 증진 및 국제 교류, 대한민국의 장애인 복지 제도 선진화 등을 위해 대회 개최 의사를 전달했다.[2]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연맹은 1996년 11월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집행위원회에서 대한민국 개최 안건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부산광역시,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체육회 등과 협의하여 2002년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인 부산에서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하고, 1998년 5월 26일 국무회의에서 승인했다. 2000년 12월 29일에는 '제8회 부산 아시아·태평양 장애인 경기 대회 지원법'(법률 제6319호, 2003년 6월 30일을 기해 효력을 상실함)이 제정되었다. 부산 영화제 조직위원회(BUFOC)가 대회 개최를 감독하기 위해 설립되었다.[2]

3. 경기장

2002년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는 부산광역시경상남도 일원에서 16개 경기장이 사용되었다.[3] 경기장 목록은 다음과 같다.

시/도경기장종목
부산광역시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육상
사직실내체육관탁구
부산종합운동장 론볼링장론볼
사직실내수영장수영
금정체육관휠체어 농구
스포원파크 테니스장휠체어 테니스
강서체육공원 실내체육관배드민턴
강서체육공원 보조체육관펜싱
강서체육공원 양궁경기장양궁
구덕운동장7인제 뇌성마비 장애인 축구
구덕실내체육관유도
기장체육관좌식 배구
부경대학교 체육관역도 (파워리프팅)
동주대학 체육관골볼
강서도로사이클코스사이클
경상남도창원국제사격장사격
양산체육관보치아


3. 1. 부산광역시

경기장종목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육상
사직실내체육관탁구
부산종합운동장 론볼링장론볼
사직실내수영장수영
금정체육관휠체어 농구
스포원파크 테니스장휠체어 테니스
강서체육공원 실내체육관배드민턴
강서체육공원 보조체육관펜싱
강서체육공원 양궁경기장양궁
구덕운동장7인제 뇌성마비 장애인 축구
구덕실내체육관유도
기장체육관좌식 배구
부경대학교 체육관역도 (파워리프팅)
동주대학 체육관골볼
강서도로사이클코스사이클



제8회 FESPIC 경기대회는 경기장 16곳을 사용했는데, 부산에 14곳, 경상남도에 2곳이었다.[3]

3. 2. 경상남도

경기장종목
창원국제사격장사격
양산체육관보치아



제8회 FESPIC 경기대회는 경기장 16곳을 사용했는데, 부산에 14곳, 경남에 2곳이었다.[3]

4. 종목

양궁

육상

역도 (파워리프팅)

배드민턴

보치아

사이클

펜싱

7인제 뇌성마비장애인 축구

골볼

유도

론볼

사격

수영

좌식 배구

탁구

휠체어 농구

휠체어 테니스

5. 상징

2002년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 로고는 개최 도시인 부산을 상징하는 물결, 개최국인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역동적인 태극 문양, 횃불을 들고 질주하는 스포츠 선수를 한국의 전통 디자인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이는 스포츠를 통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통합과 장애인들의 장애 극복 의지를 상징하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사회에 대한 열망을 나타낸다.[4][5]

2002년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 마스코트 〈귀동이〉


대회 마스코트는 "귀동이"(Gwidongih)라는 이름의 거북이로, 한국어로 "귀여운 아이"를 의미하며, 한자로는 거북이를 뜻하는 "귀"(龜)를 나타낸다. 거북이는 재활과 사회 참여를 향한 장애인들의 지치지 않는 노력을 상징하며, 마스코트의 "V" 표시는 인류의 승리를 축하하는 대회임을 의미한다.[4][5]

6. 참가국

총 40개국이 대회에 참가했다.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연맹에 가입했던 나라들 가운데 , 나우루,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북마리아나 제도, 솔로몬 제도, 투발루 7개국은 참가하지 않았다. 또한 부산광역시와 대회 조직위원회는 2002년 아시안 게임과 마찬가지로 남북한 간의 화합 분위기 조성, 장애인 스포츠·복지 분야 협력 차원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초청하려고 했으나 성사되지 않았다.[1] 이는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참가국


7. 메달 집계

순위나라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1919050331
2626860190
3434837128
433252583
527251658
617252163
717171044
871210
95101025
10581225
11413421
123249
133216
143126
153014
162283767
172327
182226
192002
201135
1135
220527
230426
240224
250112
0112
270101
280022
290011
합계4333843131130



2002년 아시아태평양장애인경기대회에서 중국이 금메달 191개, 은메달 90개, 동메달 50개로 총 331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하였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62개, 은메달 68개, 동메달 60개로 총 190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2위를 차지하였다. 태국(43개), 일본(33개), 홍콩(27개)이 그 뒤를 이어 각각 3, 4, 5위를 기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et the Games begin http://www.fespic.or[...] 2019-03-30
[2] 웹사이트 Organising committee http://www.fespic.or[...] 2019-03-30
[3] 웹사이트 Venues http://www.fespic.or[...] 2019-03-30
[4] 웹사이트 Emblem and mascot http://www.fespic.or[...] 2019-03-30
[5] 웹사이트 Emblem and mascot (Korean) http://www.fespic.or[...] 2019-03-30
[6] 웹사이트 Result http://fespic.or.kr:[...] 2019-03-30
[7] 웹사이트 Result (English) http://www.fespic.or[...] 2019-03-30
[8] 웹사이트 Final medal table http://www.fespic.or[...] 2019-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